중년의 쉼이 있는 공간

궁금합니다

보이스 피싱 피해시 조치방법

요천수 2024. 2. 14. 10:25
728x90

최근에 중장년층을 상대로 보이스 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아무리 주의를 해도 잠깐 방심하면 당할 수밖에 없는 범죄라서 주의와 또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주의를 했지만 피해를 당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신속하게 대처를 해야 합니다.

 

 

 

휴대폰 공장 초기화하기

휴대폰에 해킹 앱 등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다면 빠르게 앱을 삭제하고 공장을 초기화하는 것이 좋아요. 초기화하게 되면 연락처와 사진이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백업을 해두는 것을 추천해요. 휴대폰 제조사에 따라 지우는 방법이 달라요. 

  • 삼성 : 휴대폰 자체의 설정 – 일반 – 초기화 – 기기 전체 초기화 
  • 애플 : 휴대폰 자체의 설정 – 일반 – 아이폰 재설정 – 모든 콘텐츠 및 설정 지우기 
  • LG : 설정 – 일반 – 백업 및 초기화 – 화면 오른쪽 아래 ‘휴대폰 초기화’ 

이밖에 검사, 수사관이라면서 돈을 요구하는 전화를 받았는데 보이스피싱이 의심된다면 나에게 전화를 걸어온 사람이 진짜 검사인지 알려주는 콜센터도 있어요. 서울중앙지검이 365일, 24시간 운영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서류 “진짜인지 알려줘” 콜센터(찐센터)’인데요. 직통번호 010-3570-8242로 전화하면 전달받은 검찰 신분증, 관련 서류 등이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확인해주기 때문에 보이스피싱 대처를 잘 할 수 있어요. 지난해 기소된 보이스피싱의 약 40%가 검찰을 사칭하면서 “범죄에 연루되었으니 예금 보호를 위해 돈을 보내라”는 수법이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 

 

그러나 절대로 수사기관에서는 돈을 요구하는 일이 없으니, 일단 돈 얘기가 나오면 보이스 피싱이라고 의심을 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입니다.

728x90